중대백로(황새목 왜가리과/ Egretta alba modesta)
쇠백로(황새목 왜가리과/ Egretta garzetta)
왜가리(황새목 왜가리과/ Ardea cinerea)
소황사구의 전지역을 아름답게 순회하는 중대백로, 쇠백로, 왜가리. 주로 소황습지 안쪽에 집단으로 머물고 있다.

중대백로
몸길이 약 90cm이다. 암수 모두 온몸이 새하얗고 눈 앞에 녹색 피부가 드러나 있다. 여름철 번식기의 어깨깃에는 가늘고 긴 장식깃이 있으나 겨울깃에는 없다. 또 여름철의 부리는 검고 부리 시작 부위가 녹색이나 겨울철의 부리는 노란색이다. 홍채는 어두운 노란색이다. 다리는 검고 정강이는 갈색이다. 한국에서는 전국에 걸쳐 널리 번식하는 흔한 여름새이다.
단독 또는 2∼3마리에서 7∼8마리의 무리가 평지에서 쉽게 눈에 띄는데, 번식이 지나 새끼가 둥지를 떠난 뒤에는 번식지 부근의 논에서 20∼30 또는 40∼50마리씩 모여 지낸다. 왜가리ㆍ쇠백로ㆍ황로 등과 섞여 200∼300마리 이상 집단으로 번식한다.
4∼6월 하순에 2∼4개의 알을 낳아 암수 함께 품은 지 25∼26일이면 부화해서 30∼42일 동안 어미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란다. 물고기, 개구리ㆍ올챙이ㆍ들쥐ㆍ새우ㆍ가재ㆍ수생곤충 등을 잡아먹는다.
경기도 여주군 신접리(제209호), 전남 무안 용월리(제211호), 강원 양양 포매리(제229호) 등 중대백로 번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해서 관리되고 있다.
“백로가 깃들면 부자 마을이 된다”, “백로가 찾아오는 곳은 길지다”라는 속설이 있으며 백로류는 ‘설객(雪客)’이라는 아호가 붙기도 한다.
쇠백로 (윗 사진 좌측 검은부리)
몸길이 약 61cm이다. 몸이 작아서 다른 백로와는 구별된다. 깃은 흰색이고 윗목에 두 가닥의 길고 흰 장식깃이 자란다. 부리와 다리는 검정색이고 발가락은 노란색이다. 여름깃은 1∼4월 사이에 털갈이를 한다. 번식기가 되면 눈 앞쪽이 붉어진다.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은 여름새이다. 10~20마리 또는 40~50마리씩 무리지어 사는데, 중대백로ㆍ황로와 섞여서 번식하며 행동이나 울음소리, 나는 모습도 거의 같다. 몸집이 작고 발가락이 노란색이어서 다른 왜가리와는 쉽게 구별된다. 4월 하순~8월 상순에 3∼5개의 알을 낳이 23일 동안 품는다. 새끼를 기르는 기간은 25∼30일이고 갓 깨어난 새끼는 흰 솜털로 덮여 있다. 먹이로는 물고기ㆍ개구리ㆍ뱀ㆍ새우ㆍ가재 및 수생곤충 따위를 잡아먹는다.
왜가리 (아래 사진 좌측 재색)
몸길이 91∼102cm이다. 한국에서 보는 왜가리과에서 가장 큰 종이다. 등은 회색이고 아랫면은 흰색, 가슴과 옆구리에는 회색 세로줄무늬가 있다. 머리는 흰색이며 검은 줄이 눈에서 뒷머리까지 이어져 댕기깃을 이룬다. 다리와 부리는 계절에 따라 노란색 또는 분홍색이다.
한국에서는 흔한 여름새이며 번식이 끝난 일부 무리는 중남부 지방에서 겨울을 나기도 하는 텃새이다. 못ㆍ습지ㆍ논ㆍ개울ㆍ강ㆍ하구 등의 물가에서 단독 또는 2∼3마리씩 작은 무리를 지어 행동한다. 주로 낮에 활동한다. 날 때는 목을 S자 모양으로 굽히고 다리는 꽁지 바깥쪽 뒤로 뻗는다. 이동할 때는 밤에도 난다.
침엽수ㆍ활엽수림에 집단으로 번식한다. 중대백로와 섞여 번식 집단을 이루거나 단독으로 무리를 짓는다. 수컷은 둥지 재료를 나르고 암컷이 둥지를 튼다. 4월 상순에서 5월 중순에 한배에 3∼5개의 알을 암수가 함께 1개 또는 2개째 알부터 품기 시작한다. 25∼28일 동안 품은 뒤 부화하면 50∼55일 동안 암수가 함께 기른다.

중대백로(황새목 왜가리과/ Egretta alba modesta)
쇠백로(황새목 왜가리과/ Egretta garzetta)
왜가리(황새목 왜가리과/ Ardea cinerea)
소황사구의 전지역을 아름답게 순회하는 중대백로, 쇠백로, 왜가리. 주로 소황습지 안쪽에 집단으로 머물고 있다.
중대백로
몸길이 약 90cm이다. 암수 모두 온몸이 새하얗고 눈 앞에 녹색 피부가 드러나 있다. 여름철 번식기의 어깨깃에는 가늘고 긴 장식깃이 있으나 겨울깃에는 없다. 또 여름철의 부리는 검고 부리 시작 부위가 녹색이나 겨울철의 부리는 노란색이다. 홍채는 어두운 노란색이다. 다리는 검고 정강이는 갈색이다. 한국에서는 전국에 걸쳐 널리 번식하는 흔한 여름새이다.
단독 또는 2∼3마리에서 7∼8마리의 무리가 평지에서 쉽게 눈에 띄는데, 번식이 지나 새끼가 둥지를 떠난 뒤에는 번식지 부근의 논에서 20∼30 또는 40∼50마리씩 모여 지낸다. 왜가리ㆍ쇠백로ㆍ황로 등과 섞여 200∼300마리 이상 집단으로 번식한다.
4∼6월 하순에 2∼4개의 알을 낳아 암수 함께 품은 지 25∼26일이면 부화해서 30∼42일 동안 어미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란다. 물고기, 개구리ㆍ올챙이ㆍ들쥐ㆍ새우ㆍ가재ㆍ수생곤충 등을 잡아먹는다.
경기도 여주군 신접리(제209호), 전남 무안 용월리(제211호), 강원 양양 포매리(제229호) 등 중대백로 번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해서 관리되고 있다.
“백로가 깃들면 부자 마을이 된다”, “백로가 찾아오는 곳은 길지다”라는 속설이 있으며 백로류는 ‘설객(雪客)’이라는 아호가 붙기도 한다.
쇠백로 (윗 사진 좌측 검은부리)
몸길이 약 61cm이다. 몸이 작아서 다른 백로와는 구별된다. 깃은 흰색이고 윗목에 두 가닥의 길고 흰 장식깃이 자란다. 부리와 다리는 검정색이고 발가락은 노란색이다. 여름깃은 1∼4월 사이에 털갈이를 한다. 번식기가 되면 눈 앞쪽이 붉어진다.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은 여름새이다. 10~20마리 또는 40~50마리씩 무리지어 사는데, 중대백로ㆍ황로와 섞여서 번식하며 행동이나 울음소리, 나는 모습도 거의 같다. 몸집이 작고 발가락이 노란색이어서 다른 왜가리와는 쉽게 구별된다. 4월 하순~8월 상순에 3∼5개의 알을 낳이 23일 동안 품는다. 새끼를 기르는 기간은 25∼30일이고 갓 깨어난 새끼는 흰 솜털로 덮여 있다. 먹이로는 물고기ㆍ개구리ㆍ뱀ㆍ새우ㆍ가재 및 수생곤충 따위를 잡아먹는다.
왜가리 (아래 사진 좌측 재색)
몸길이 91∼102cm이다. 한국에서 보는 왜가리과에서 가장 큰 종이다. 등은 회색이고 아랫면은 흰색, 가슴과 옆구리에는 회색 세로줄무늬가 있다. 머리는 흰색이며 검은 줄이 눈에서 뒷머리까지 이어져 댕기깃을 이룬다. 다리와 부리는 계절에 따라 노란색 또는 분홍색이다.
한국에서는 흔한 여름새이며 번식이 끝난 일부 무리는 중남부 지방에서 겨울을 나기도 하는 텃새이다. 못ㆍ습지ㆍ논ㆍ개울ㆍ강ㆍ하구 등의 물가에서 단독 또는 2∼3마리씩 작은 무리를 지어 행동한다. 주로 낮에 활동한다. 날 때는 목을 S자 모양으로 굽히고 다리는 꽁지 바깥쪽 뒤로 뻗는다. 이동할 때는 밤에도 난다.
침엽수ㆍ활엽수림에 집단으로 번식한다. 중대백로와 섞여 번식 집단을 이루거나 단독으로 무리를 짓는다. 수컷은 둥지 재료를 나르고 암컷이 둥지를 튼다. 4월 상순에서 5월 중순에 한배에 3∼5개의 알을 암수가 함께 1개 또는 2개째 알부터 품기 시작한다. 25∼28일 동안 품은 뒤 부화하면 50∼55일 동안 암수가 함께 기른다.